2012. 8. 13. 07:40ㆍ농기계 이야기
2012년도에 160 호스릴을 구입하여 사용하면서 느낀점입니다. 차이점을 간략하게 요약한다면 반자동과 자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리모컨이 있고 없고의 차이점 보다 내부 기능에 있어서 160 제품이 월등이 뛰어납니다.
뛰어난 기능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자클러치와 왕복스크류 상부에 장착된 2개의 리미트 스위치의 역활을 보면
얼마나 좋은 제품인지 느낄수 있습니다.
먼저 전자클러치 부분입니다. 전자클러치는 2가지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줄을 풀때 리미트스위치가 브레이크 역활을 해줍니다. 줄을 잡아당길때 술술
풀리게 해줍니다. 잡아당기지 않으면 왕복스크류 헤드쪽에 있는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면서 전자클러치에서 브레이크가 잡혀버립니다.
또하나의 역활은 모터를 보호하는 역활을 해줍니다. 줄을 감을때 부하가 많이 걸리면 슬립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줄이 딸려오지 않을시 과부하에 의해 모터가 타버릴수 있는데, 전자클러치에서 슬립하도록 되어있습니다.
2개의 리미트 스위치중 하나는 전자클러치용에 사용되지만 또 하나는 줄을 감을때 사용되는 안전장치 리미트 스위치입니다. 줄이 조그마한 원형으로 꼬이거나 줄이 모두 감겼을때 미처 리모컨 스위치나 수동으로 끄는것을 작동시키지 못했을때는 왕복스크류 헤드윗쪽에 있는 리미트 스위치가 역활을 해주는데, 모터 회전을
바로 정지시켜 버립니다. 호스릴을 수동으로 감을때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감을때나 스위치는 어김없이 작동됩니다. 전 처음에 자동으로 감을때만 작동되겠지 하고 수동스위치로 작동시켜봤는데, 멈추길레 좀 놀랬습니다. 어떻게 만들었을까?
참 대단하다라는 생각도 하였으며, 리모컨으로 작동되는 컨트럴 박스를 집에서 하나 만들어 봤는데, 타이머 기능만 넣지 않았을뿐 불스160모델에 있는 컨트럴 박스 떼어버리고 직접 만든 컨트럴 박스에 배선만 연결하면 똑같은 방식으로 작동될수 있도록 만들어봤습니다. 그러고 보면 나두 대단한것인가요?
리모컨이 되고 안되고를 떠나서 120 모델과의 차이점은 별것 아닌것 같으면서도 사용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무조건 160 모델로 가는것이 현명한 생각입니다.
2
'농기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제기 하나 만들기 위해서 중고 경운기 엔진 구입한것 고치기 직전입니다. (0) | 2012.08.21 |
---|---|
염도계를 구입하였고, 차량탑재형 방제기 다시 하나 만들려고 준비중입니다. (0) | 2012.08.14 |
황금파종기 분해하였습니다. 호스릴 구입했습니다. (0) | 2012.07.29 |
호스릴 또하나 구입해야 할것 같습니다. (0) | 2012.07.25 |
방제기에 가루를 혼합해주는 장치를 설치하였습니다. (0) | 201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