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 10. 12:23ㆍ농기계 이야기
최근 산불현장에 갔다가 다목적 산불진화방제차를 보게 되었습니다. 4륜차량인데, 복륜4륜으로 했으면 좋았을텐데라고 생각했습니다.
산불진압용 차량 잘 만들어졌네요. 가격은 옵션에 따라서 다르며 조달청 가격으로 4,825만원 4,182만원 3,842만원 3종류가 있습니다.
자체 양수기가 있고, 콤프레셔가 있으며, 고압 100A 분문기와 비상용 가솔린 엔진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동력전달 방식은 스위치에 의해서 에어컨 작동되듯 오토클러치 방식으로 양수기나 콤푸레셔나 고압분무기를 작동 시키고 있습니다. 개선할 부분을 찾으라고 한다면 사용설명서가 내부에 스티커 형식으로 있으면 누구나 쉽게 작동할 수 있을텐데, 사용설명서 부재와 소모품인 벨트류 번호와 기계에 들어가는 오일 종류와 오일량정도는 스티커로 내부에 붙여 주었으면 좋았을텐데, 하는것과 호스릴은 자동권취 기능이 있었어야 했는데, 자동권치가 아닌 반자동 권취기능이 조금은 안좋았다는것입니다. 농사 할때 방제차량으로 사용해도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단지 탱크가 작다는 단점이 있지만요.
이러한 차량으로 소방차를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봤습니다. 대형트럭인 소방차만 들어갈려고 할것이 아니라 소형차량으로 진입하여 소방호스만 소화전에 연결하여 사용한다면 신속하게 화재현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테니까요. 대형차량들은 물이 떨어지면 무용지물이지만 소형차량은 소화전에서 곧바로 공급받으면서 진압을 하기 때문에 물 걱정없이 화재현장 가까이서 진압 할수 있어서 좋을것 같습니다. 거기에 소방호스 잡는것도 사람이 아닌 기계식으로 만들어서 화재 가까이 다가설 수 있도록 한다면 좋겠지요. 즉 소방관 1명이 모든걸 작동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소방차를 만들수도 있겠말이죠. 그런데 2명이서 한다면 더 빠르겠죠. 즉 소화전을 많이 만들고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소형차량으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좋을꺼라 생각됩니다.
'농기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트110마력 조향실린더 리데나 교환하였습니다. (0) | 2018.02.12 |
---|---|
사촌형님의 교통사고 처리에서 의외로 사람들이 모르는 부분들이 (0) | 2018.01.17 |
염도계와 당도계 가지고 측정을 해봤습니다. (0) | 2018.01.08 |
굴삭기 운전레바대에서 오일이 새서 교환작업했습니다. (0) | 2018.01.03 |
콤푸레샤 구입한것 테스트 및 압력 올렸습니다. (0) | 2018.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