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 6. 23:30ㆍ농기계 이야기
얼마전 시금치 출하 때문에 농산물 공판장에 다녀오면서 각 파이프를 구입하였습니다.
구입한 목적은 차량 탑재형 방제기를 만들기 또 하나 만들기 위함입니다.
각 파이프 가격은 5만원 지불하였습니다.
페인트 구입하여 도색작업을 해야 합니다. 승합밴 차량에 싣고 와야 하기에 판매처에서 잘랐습니다.
절단비는 한컷트당 1,000원 달라고 합니다. 나머지 파이프들은 전에 사다 놓은것이 집에 있습니다.
경운기 중고 엔진도 있고, 리모컨으로 경운기 엔진 시동을 켜고 끄는 장치를 구현할 생각을 갖고 있지만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경운기 엔진 브란자 제어할수 있는 스톱모터는 구입하였지만 배선작업을
직접 해야하기에 그걸 할려면 머리깨나 아프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012년도에 만들고 있던 방제기 입니다. 컨트럴 박스도 직접 제작하여 리모컨으로 자동텐션이 작동되게 하였습니다.
이땐 작업등과 자동텐션만 되게 하였지만 지금은 사진속 컨트럴 박스는 떼어버리고 다시 제작에 들어가서 자동텐션과
호스릴과 교반장치를 리모컨으로 작동되게 하였습니다. 야간작업을 대비하여 만든 작업등은 수동으로 켜게 하였습니다.
리모컨이나 수동 스위치를 이용하여 텐션이 작동될때 벨트가 팽팽해지면서 분무기가 작동된 상태입니다. 처음엔 레바타입 이었지만
레바는 제거해 버리고 DC모터에 감속기 장착하여 전기로 텐션을 작동 시킵니다. 사진에 수동레바를 작동할수 있는 다이가 있지만
앞으로 만들 방제기에는 수동레바 작동 받침다이는 생략됩니다. 작동중일때 사진을 촬영하였는데, 분무기 압력은 60 입니다.
'농기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 탑재형 방제기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0) | 2013.02.20 |
---|---|
경운기엔진 얹어서 사용했던 분무기 해체 작업을 (0) | 2013.02.13 |
방제기 만들어 놓고 설명서도 없지만 호스릴제작 한것은 끝내줍니다. (0) | 2013.01.30 |
트랙터 앞 차축씰이 망가졌습니다. 교환 작업을 (0) | 2013.01.10 |
베일러 작업하다가 돈만 깨집니다. (0) | 2012.11.21 |